생생지락 生生之樂, 생업에 종사하며 삶을 즐기다

  • 정유용 강진우리신문 객원기자



  • “시골 마을에서 근심하고 탄식하는 소리가 영구히 끊어지도록 하여 살아가는 즐거움(生生之樂)을 이루도록 할 것이다” 세종임금의 통치 철학인 생생지락(生生之樂)을 이른 말이다. 이 말은 본래 서경(書經)에 나오는 말로, 중국 고대왕조인 상(商=은,殷)나라 군주 반경(盤庚)이 “너희 만민(萬民)들로 하여금 생업에 종사하며 즐겁게 살아가게 만들지 않으면, 내가 죽어서 꾸짖음을 들을 것이다”라고 말 한데서 유래했다.
    “내가 하는 일에 자부심을 느끼면, 그것을 통하여 즐거움이 저절로 들어온다. 자기가 하고 있는 하찮고 보잘것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일하고 있지는 않는지? 수많은 꽃들도 모두 장미가 되기 위해서 피지 않는다.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세상이 아름답다. 다만 나는 내 입장에서만 세상을 보지만 세상의 입장에서 보면, 지금의 내 위치는 너무 아름다운 모습으로 비치고 있다” <서경>
    ‘생생지락’은 세종대왕이 재위하는 동안 이어져 온 통치이념으로,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본이 튼튼해야만 나라가 평안하게 된다’ 라고 했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극진했던 만큼 ‘생생지락’을 가장 많이 언급했었다는 것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 있다. 세종은 “위에 있는 사람이 성심을 다해, 앞장서서 이끌어가고 솔선수범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백성들로 하여금 부지런히 일에 전념하면서 그 생업을 즐거워 할 수 있겠는가”라고 구체적으로 말했다. 이는 곧 “임금은 포용의 아량으로 비록 꼴 베는 사람의 말이라도 반드시 들어보아 옳으면 채택하고 틀려도 처벌하지 않음으로써 아래 사정을 알고 자신의 총명을 넓혀야 한다” 세종의 이 말씀에는 백성으로 하여금 살아가는 즐거움을 누리도록 하려는 배려가 보인다.
    세종의 위대함은 법치보다는 덕정(德政),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승리만 노리는 패도(覇道)보다는 포용력을 바탕으로 한 왕도(王道)의 정치를 추구한 통치 철학이라 하겠다. 목적이 선해야 과정도 즐겁다. 세종은 정치의 목적을 백성들의 생생지락에 두고 있다. 한글을 창제한 목적 또한 백성들의 생생지락 때문이다. 이는 지배 계급의 우민정책으로 신분 제도가 고착화된 조선조의 사회적 정서에 반할 뿐 아니라 당시의 명나라와의 관계로 보아 조선이 문자를 독자적으로 만든다는 것은 명나라의 권위에 도전하는 매우 위험한 외교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것은 백성들의 생생지락(生生之樂)을 위한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종 정책의 최우선에는 항상 노비, 노인, 여성, 아이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이었다. 세종대왕은 백성의  삶의 질 향상은 임금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의무였다. 한마디로 나라가 평화롭고 직장이 안정되어 있으며 가족이 우애롭다면, 누군가 나라를 혼란스럽게 만들려 해도 꿈쩍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세종의 생각이었다. 즉,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즐거움이란 뜻으로, 국민들이 생업을 즐기며 그 즐거움을 느끼며 사는 행복한 세상이라는 의미이다.
    『엄격한 신분제도의 조선시대에 하층 노비들에게 산후 5달의 출산휴가를 주고, 장애가 있는 백성들을 위해 ‘명통시’라는 기관을 통해 돌보게 했다. 그리고 지금 우리에게 남겨진 최대의 유산인 백성을 사랑한 애민의 절정인 한글창제가 있다.
     이는 모두 나라의 근본인 백성이 ‘생업에 종사하며 삶을 즐기다’라는 뜻이 담긴 ‘생생지락(生生之樂)’은 스물일곱 젊은 왕의 포부였으며, 1418년부터 1450년까지 재위 32년 동안 세종이 꿈꿔온 목표로 생명존중과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공공선(公共善), 이것은 세종시대의 핵심이 됐다.
    모두가 행복하고 즐거울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생명을 존중하고 사회적 약자를 잘 보살피고자 노력했던 그의 앞선 정치는 사회적으로 리더십의 부재가 너무나 큰 혼란과 상실을 가져온 오늘의 현실 속에서 우리들에게 진정한 리더십은 무엇으로부터 시작돼야 하는가를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것  같다. 올해는 세종대왕 서거 600년이 되는 해이다. 세종의 국정철학은 수 백 년이 훌쩍 뛰어넘은 오늘의 우리에게도 그 의미는 다르지 않다. 강진군민이 생업에 종사하며 즐거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새로운 목민관의 활약을 기대해 본다. 

  • 저작권자(c)강진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리자 news@gjuri.com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

작성자
비밀번호  
제목
내용
자동입력방지 5 x 9 = ? 의 답을 입력해 주세요.
상업성 글이나 욕설등은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1954년, 한국최초의 사회적기업 성이시돌협회-푸른 눈의 돼지신부, 임피제 2018.10.26 金 08:43
2018년 9월 기준, 강진군 전체 인구 36,350명 중 외국인 인구는 456명이다.  베트남을 비롯 중국, 캄보디아, 일본, 필리핀 등 강진군에서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우리의 많은 아이들은 다문화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국적의 어머니를 갖기도 하였다. 많은 외국인들이 한 가정의 주부로 또다른 외국인들은 농촌의 일손을 돕는 노동자로 강진군에..
다산 선생께서 극찬한 관음암을 찾아서 2018.10.17 水 10:44
하늘은 푸르고 드높은 날 다산선생께서 시문집에서 극찬한 완도의 관음암을 찾았다. 관음암은 완도 상왕봉 644미터 8부 능선 상여바위 밑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시대 때 창건된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20세기 초반까지 운영돼 오다가 폐사되었다고 한다. 현재 사찰 주변에는 초석 돌보시 석굴불단 기와편 등이 남아 있는 곳으로 완도 향토유적 제3호로 지정되어 있다. ..
월출산 정상에 올라서 2018.10.10 水 09:52
다산 선생의 흔적을 찾아 강진 주변의 여기저기를 다니면서 드디어 9월의  마지막 토요일 월출산 정상 천황봉에 올랐다. 월출산은 한 가수의 영암아리랑으로 널리 알려져 월출산이 영암에 있는 줄 알았는데 천황봉에 오르니 확연히 구분이 된다. 남쪽편이 강진이고 북쪽편이 영암이다. 1988년 20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월출산은 호남정맥의 거대한 암류가 남..
정동진 모래시계와 강진 청자 2018.09.13 木 08:36
​강원도 강릉시 정동진에 가면 모래시계가 있다. 한반도의 지형지세가 서해안 쪽은 대륙붕이 발달하여 완만하고 리아스식 해안선과 작은 섬들이 위치해 있어 풍광이 아름다워 웬지 친근하고 정감이 있다. 동해안은 동해의 푸른 바다가 응어리진 가슴을 탁 트이게 할 수는 있지만 아기자기한 맛은 덜하다. 지금은 정동진이 이미 유명해져 있지만 즈믄 해 (2000년) 이전까..
다산초당, 다산와당 뭐가 중헌디! 2018.09.05 水 09:18
다산초당을 찾는 사람들 대부분이 맨처음 하는 말이 다산초당이 초가가 아니라 기와라며 다산와당이네라고 한다. 그런데 속을 알고 보면 왜 기와로 했는지 알 수 있다. 속도 모르며 하는 말을 다산선생께서 들으시며 하시는 말씀을 생각해보면 “아서라 와당같은 소리 허지를 마라, 너희들이 그 때를  아느냐. 1958년 그 누구도 와 보지 않던 이곳 나의 흔적..
강진의 구슬, 뭐가 중헌디! 2018.08.23 木 08:37
30년 이상 서울 생활을 하다 강진에 온지 15개월째다. 강진은 남도답사 1번지로 이미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역사와 문화와 힐링의 고장이 되었다. 그러나 이제 수많은 지방 자치단체들의 자랑거리와 그에 따른 홍보와 홍보 매체의 다양화는 지난날의 명성만으로는 더 이상 자랑거리로 삼을 수가 없다. 이런 차원에서 강진의 아름다운 자랑거리가 뭔지 뭐가 중한가를 ..
생생지락 生生之樂, 생업에 종사하며 삶을 즐기다 2018.07.18 水 11:22
“시골 마을에서 근심하고 탄식하는 소리가 영구히 끊어지도록 하여 살아가는 즐거움(生生之樂)을 이루도록 할 것이다” 세종임금의 통치 철학인 생생지락(生生之樂)을 이른 말이다. 이 말은 본래 서경(書經)에 나오는 말로, 중국 고대왕조인 상(商=은,殷)나라 군주 반경(盤庚)이 “너희 만민(萬民)들로 하여금 생업에 종사하며 즐겁게 살아가게 만들지 않으면, 내가 죽..
왜? 다산은 관에서 성혼을 시키도록 했나! 2018.07.11 水 08:58
우리사회가 저출산 고령화로 심각한 고민에 봉착하고 있다. 합계 출산율이 1.17인 2002년부터 저출산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면서 우리는 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잘 알면서도 그냥 앞만 보고 달려왔다. 그런데 이제는 코앞에 닥친 사회적 빅 이슈가 되고 말았다. 1970년대 100만명을 넘던 신생아 수가 줄어들기 시작해 작년에는 35만8000명으로 역대 최저..
강진의 골든트라이앵글 2018.05.16 水 09:59
변화는 새로운 시작의 출발이다. 자라던 고향을 떠나서 생활하고 또 다른 삶의 여정 속에서 새로운 시작은 새로운 세상을 보게 된다. 보고 느끼며 생각하면서 이곳 강진에서의 생활은 나의 속마음을 하나씩 드러내기 시작한다. 특히 강진은 인생 3막의 새로운 무대로 인생 2막에서의 경험과 지혜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워가며 의미를 찾아가는 곳이다. 본인에게 현..
세상에서 가장 팔자 좋은 사람은 누구일까? 2018.05.09 水 10:04
중국에서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오복(五福)을 모두 누려 본 사람을 일러 ‘곽자의 팔자’라고 한다. 곽자의(郭子儀687-781)는 중국 당나라 시대 ‘안록산의 난’을 평정하고 그 공로로 ‘분양왕’에 봉해졌으며, 공주며느리를 얻고 ‘상부(尙父)’라는 칭호까지 받은 당나라 최대의 공신이다. 그는 85세까지 살면서 100명이 넘는 손자를 두는 등 인간이 누릴 수 ..
 
처음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