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방소멸 위기 지역 강진…‘맞춤형 대응방안’모색

  • 선제적 대응 T/F팀 구성, 주거 안정 정착금 지원



  •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인구 감소가 심각한 89곳(38.8%)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첫 지정됐다. 지난 10월 18일 행정안전부는 지역 인구감소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구감소지역’ 89곳을 지정·고시했다. 

    전남에서는 무안군과 5개 시를 제외한 강진군을 비롯 16개 군이 ‘인구감소지역’에 포함됐으며, 정부에서는 해당 지자체가 인구활력계획을 수립하고, 정부는 국고보조사업 등 재정지원과 특례 부여 등 제도적 지원을 한다.  

    이에 강진군에서도 인구감소·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대응전략 마련에 나섰다. 

    지난 4일 군은 기획홍보실장 주재로 인구감소·지방소멸 대응 T/F팀을 구성하고 회의를 개최했다. 

    인구감소지역 지정은 행안부가 자연적 인구감소와 사회적 인구유출로 지역사회의 활력이 저하되는 악순환 해소를 위해 인구감소지수를 근거로 강화, 강진군을 포함한 전국 89곳을 지정해 10년 동안 매년 1조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마련해 해당 지자체에 지원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청년이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를 위한 청년 대상 공공임대주택 임대료 지원 ▲산단 취업 시 주거 안정 정착금 지원 ▲농어업 청년층 유입을 위한 청년 귀농·귀어인 정착을 위한 거주지 조성 ▲지속적인 도시 재생사업을 통한 농촌환경 개선 등 여러 분야의 정책 및 사업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강진군은 다음해 신설되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일자리창출, 청장년층 인구유입, 생활인구 유입 증진에 집중적으로 투입하고 인구감소 해결을 위한 정책 및 사업을 발굴하고 실질적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T/F팀의 정기적인 자체 회의를 가지고 적극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이준범 기획홍보실장은 “계속되는 인구감소로 지방소멸 위기가 고조되고 있어 T/F팀을 구성했다”라며 “각 부서에서 정부의 인구정책 방향에 맞는 정책과 사업을 발굴하고 부서간 적극적인 소통으로 위기극복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겠다고”고 말했다. 

    강진읍에 사는 한 주민은 “주민등록 인구개념에서 벗어난 생활인구가 증가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하고 “비록 인구문제는 강진의 문제만은 아니지만 진짜 살기위해 찾아오는 강진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c)강진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주연 news@gjuri.com
    • Facebook Twitter KakaoStory Naver NaverBand